■ Guitar(기타)/Acoustic Guitar(어쿠스틱 기타) 49

픽가드(Pickguard), 바인딩(Binding), 퍼플링(Purfling) – 외장 장식의 역할과 영향

어쿠스틱 기타는 단순한 악기를 넘어 예술품으로서의 외관을 갖춘 경우가 많다. 그중에서도 픽가드(Pickguard), 바인딩(Binding), 퍼플링(Purfling)은 단지 미적 장식에 그치지 않고, 실제 구조적 안정성과 연주감, 사운드에도 일정한 영향을 주는 외장 요소들이다. 이 포스트에서는 이 세 가지 장식의 기능과 종류, 그리고 기타 사운드에 미치는 영향까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픽가드(Pickguard)의 역할과 종류픽가드는 일반적으로 사운드홀 아래쪽, 스트로크 시 손끝이 자주 닿는 위치에 부착된다. 그 주요 목적은 스트로크나 피킹 시 기타 상판이 손톱이나 피크로 긁히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하지만 단순히 ‘보호’만이 전부는 아니다.1. 기능적 역할상판 보호: 장시간 연주 시 발생할 수 있는..

어쿠스틱 기타의 바디 두께(Depth)와 상하 bout에 따른 사운드 및 착용감 변화

어쿠스틱 기타( Acoustic Guitar)는 바디(Body)의 형태에 따라 소리의 울림과 연주자의 착용감이 달라진다. 그중에서도 바디의 깊이(Depth), 그리고 어퍼 바우트(Upper Bout)와 로어 바우트(Lower Bout)는 기타의 사운드 성향과 사용 편의성에 밀접한 영향을 준다. 바디 깊이(Depth)의 정의와 영향기타의 깊이는 바디 옆면의 두께를 의미한다. 바디가 두꺼울수록 내부 공기량이 많아져 저음역의 울림이 풍성해지고, 반대로 얇을수록 반응성과 착용감이 좋아진다. 얇은 바디(Depth: 약 80~95mm)얇은 바디는 주로 콘서트(Concert)나 트래블러(Traveler) 기타에 사용된다. 고음과 미드톤 중심의 선명한 사운드를 내며, 허리 라인이 얇아 무대에서 착용감이 뛰어나다. 앉은..

어쿠스틱 기타 바디별 쉐입 비교 및 사운드 차이

어쿠스틱 기타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바디(Body)의 모양, 즉 ‘쉐입(Shape)’이다. 각 바디는 크기와 형태, 내부 울림 공간의 구조에 따라 고유한 사운드 캐릭터를 가지며, 연주자의 스타일과 장르, 신체 조건에 따라 선택 기준이 달라진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바디 타입들을 비교하고, 그 특징과 추천 용도, 실제 사용 예시까지 상세히 소개한다. 1. 팔러 바디 (Parlor, 0 바디)특징: 전체적으로 작고 가벼운 구조. 슬림한 웨이스트와 작은 하단부.사운드: 미드레인지가 선명하고 음색이 따뜻함. 저음은 제한적이나 해상도 높음.추천 장르: 포크(Folk), 블루스(Blues), 컨트리(Country)사용 뮤지션: 존 메이어(John Mayer) – 일부 어쿠스틱 라이브에서 팔러 바..

어쿠스틱 기타의 공명 구조 – 브레이싱 설계와 울림의 원리

어쿠스틱 기타(ACOUSTIC GUITAR)는 단순히 나무 상자에 줄을 매단 악기가 아니다. 현에서 발생한 진동을 가장 효율적으로 증폭하기 위해 내부에 정교한 구조물이 설계되어 있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브레이싱(Bracing)’이다. 브레이싱은 상판(Top Plate) 내부에 위치한 가느다란 목재 지지대 구조로, 울림판의 강도와 진동 전달 방향, 서스테인, 배음, 음량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번 글에서는 어쿠스틱 기타에서 사용되는 주요 브레이싱 방식의 구조적 특징과 사운드 캐릭터를 상세히 정리한다. 브레이싱의 역할브레이싱은 크게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는 구조적 지지이다. 기타 줄은 상당한 장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를 상판이 그대로 받으면 쉽게 휘거나 찢어질 수 있다. 브레이싱은 ..

어쿠스틱 기타(Acoustic Guitar) 스트링 게이지(Gauge) 및 소재(Material)별 사운드 특성 비교

어쿠스틱 기타의 스트링(String)은 사운드의 출발점이다. 상판이나 브레이싱의 울림 특성도 스트링의 진동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그렇기에 스트링의 굵기(게이지, Gauge)와 재질(Material)에 따라 연주감은 물론, 사운드 전체의 밸런스와 성향까지 크게 달라진다. 이번 글에서는 스트링의 게이지와 소재별 특성을 상세하게 비교하고, 연주 스타일별 추천까지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기타 연주자가 자신의 스타일과 악기에 적합한 스트링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어쿠스틱 기타 스트링의 게이지(Gauge)란?게이지는 스트링의 두께를 의미하며, 보통 가장 가는 1번줄(E)의 두께로 분류된다. 가장 많이 쓰이는 게이지 구분은 다음과 같다. 구분 1번줄 기준(mm) 특징 Extra Light0...

헤드머신(Head Machine) 재질 및 기어 구조에 따른 튜닝 안정성 비교

어쿠스틱 기타의 튜닝 안정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가 바로 헤드머신(Head Machine)이다. 줄의 장력을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며, 미세한 음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 덕분에 연주 전후 튜닝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한다.이번 포스트에서는 헤드머신의 **재질, 기어 구조, 기어비(Gear Ratio)**에 따라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 그리고 브랜드 및 구조별 특성을 분석하여 튜닝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살펴본다. 헤드머신(Head Machine) 기어 구조의 기본 이해 – 오픈백 vs 클로즈드백헤드머신(Head Machine)은 외형적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오픈백(Open-gear)은 기어 구조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내부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무게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