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uitar(기타)/Acoustic Guitar(어쿠스틱 기타) 49

측후판 톤우드 정리 4부 – 비주류 희귀 목재 편

이번 포스트는 측후판 재료로 사용되는 비주류 희귀 목재들을 중심으로 다룬다. 기타(Guitar) 시장에서 자주 보이지는 않지만, 특정 브랜드나 커스텀 오더, 하이엔드 모델에서 개성 있는 사운드와 외형적 특색을 위해 선택되는 소재들이다. 로즈우드·마호가니 계열에 포함되지 않지만, 독립적인 가치와 음향적 매력을 지닌 목재들이며, 연주자의 취향과 사운드 추구 방향에 따라 강력한 대안이 되기도 하기에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음향목에 대한 성향을 제시한다. ※ H = 최고음역 / M = 중음역 / B = 저음역 / S = 서스테인 / O = 배음 / T = 총합 특성카탈록스 (Catalox, Mexican Royal Ebony)원산지: 멕시코, 중앙아메리카색감: 짙은 퍼플 브라운, 산화 시 거의 블랙에 가까움구조적..

측후판 톤우드 정리 3부 – 코아, 지리코테, 퍼플하트, 몽키포드 외 희귀 목재 편

이번 포스트는 어쿠스틱 기타의 측후판에 사용되는 희귀 목재(Special & Exotic Tonewoods) 들을 중심으로 다룬다. 이전 포스트에서 정리한 로즈우드, 마호가니, 메이플, 월넛, 에보니 계열 외에 독특한 미적 매력과 음향적 개성을 지닌 목재들이 존재하며, 특히 커스텀 기타나 고가 모델에서 사용 빈도가 높다. 이들은 단순히 재료 이상의 상징성을 지니며, 연주자의 스타일과 철학을 드러내는 선택이 되기에 희귀 목재별로 나누어 상세하게 정리하고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음향목에 대한 성향을 제시한다. (※ H = 최고음역 / M = 중음역 / B = 저음역 / S = 서스테인 / O = 배음 / T = 총합 특성)기타(Guitar)의 기원과 분류 코아 (Koa)원산지: 하와이색감: 황금빛~초콜릿 브라..

측후판 톤우드 정리 2부 – 마호가니, 메이플, 월넛, 에보니 계열

어쿠스틱 기타의 측후판 목재는 기타의 전체적인 사운드 캐릭터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다. 로즈우드 계열이 가장 널리 쓰이긴 하지만, 그 외에도 마호가니, 메이플, 월넛, 에보니 등의 목재들은 각기 다른 음향적 성향으로 연주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되고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로즈우드를 제외한 주요 측후판 목재들을 계열별로 구분하여 전문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음향목에 대한 성향을 제시한다. (※ H = 최고음역 / M = 중음역 / B = 저음역 / S = 서스테인 / O = 배음 / T = 총합 특성)마호가니 계열 (Mahogany Family)온두라스 마호가니 (Honduran Mahogany)원산지: 중앙아메리카, 남미 북부색감: 밝은 적갈색에서 중간 브라운까지구조적 특성: 중간 밀도, 균일..

측후판 톤우드 정리 1부 – 로즈우드 계열 (Indian, Brazilian, Madagascar 등)

어쿠스틱 기타의 측후판은 울림통 전체의 공명 특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 중 하나로, 톤의 깊이와 공간감을 좌우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계열이 바로 로즈우드(Rosewood)다. 전 세계의 로즈우드는 지역과 수종에 따라 색감과 밀도, 사운드 특성이 달라지며, 그 차이로 인해 기타 사운드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로즈우드 계열의 주요 수종들을 지역별로 나누어 상세하게 정리하고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음향목에 대한 성향을 제시한다. (※ H = 최고음역 / M = 중음역 / B = 저음역 / S = 서스테인 / O = 배음 / T = 총합 특성) 인디안 로즈우드 (Indian Rosewood)원산지: 인도 남부, 케랄라 주 등지색감: 다크 브라운~보랏빛이 감도는 브라운구조적 특성: 중..

상판 톤우드 정리 2부 – 레드우드, 코아, 블랙우드 외 (Redwood, Koa, Blackwood, etc.)

어쿠스틱 기타의 상판은 기타의 성격을 규정하는 가장 중심적인 요소다. 이번 2부에서는 스프루스와 시더 계열 외에 고급 기타, 특히 하이엔드 커스텀 모델에서 많이 사용되는 상판 목재들을 중심으로 다룬다. 특히 레드우드(Redwood), 하와이언 코아(Hawaiian Koa), 블랙우드 계열(African Blackwood, Australian Blackwood) 등은 상판으로 쓰였을 때 일반적인 스프루스나 시더와는 다른 성향을 가지며, 각각 고유의 미학적·음향적 매력을 지닌다. 총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고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음향목에 대한 성향을 제시한다. (※ H = 최고음역 / M = 중음역 / B = 저음역 / S = 서스테인 / O = 배음 / T = 총합 특성)레드우드 (Redwood)원산지: ..

상판 톤우드 정리 1부 – 스프루스(Spruce)/시더(Cedar) 계열

어쿠스틱 기타의 사운드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상판(Top) 톤우드다. 상판은 줄의 진동이 브릿지를 통해 가장 먼저 전달되는 면이자, 소리의 성격을 좌우하는 중심부다. 특히 상판 목재는 울림의 민감도, 응답 속도, 배음의 깊이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기타의 전체적인 캐릭터를 설정하며, 연주자가 어떤 소리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결정짓는 시작점이다. 스프루스(Spruce)와 시더(Cedar)는 기타 상판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목재 군이다. 두 목재는 각각 전혀 다른 음향적 특성을 지니며, 연주자의 스타일과 선호도에 따라 선택이 갈린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다양한 스프루스 계열과 시더 계열의 목재를 개별적으로 분석하며, 알려지지 않은 희귀 목재까지 포함하여 총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고 다음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