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uitar(기타)/Acoustic Guitar(어쿠스틱 기타) 49

어쿠스틱 기타 대표 브랜드별 특징 비교

어쿠스틱 기타를 고르기 전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건 바로 브랜드의 철학과 사운드 특성이다. 어쿠스틱 기타를 선택할 때 브랜드는 사운드와 연주감의 80%를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브랜드마다 사용하는 목재, 브레이싱 구조, 넥 프로파일, 사운드 셋업, 바디 구조, 튜닝 성향, 연주자 타깃 등이 추구하는 바가 다르기에 결과적으로 연주 스타일과 음색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이 글에서는 현존하는 대표 어쿠스틱 기타 브랜드 11개를 중심으로 사운드 특성, 대표 모델, 추천 대상을 비교 정리한다. 🎼 Martin – 드레드넛의 원조, 깊고 전통적인 톤설립: 1833년 / 미국대표 모델: D-28, OM-21, 000-15M특징:1. 드레드넛(Dreadnought) 바디를 최초 상용화2. 깊은 저음, 풍부한..

어쿠스틱 기타의 세팅법 – 트러스로드, 액션 조절, 인토네이션 + 트러스로드 종류까지 완전 정리

어쿠스틱 기타는 시간이 지나면서 넥이 휘거나 줄 높이가 달라지는 등 여러 변화가 생긴다. 이를 관리하고 연주 최적화를 위해 필요한 작업이 바로 기타 세팅(Guitar Setup)이다. 이번 글에서는 기타 세팅의 3대 요소인① 트러스로드(Truss Rod), ② 액션 조절(Action Adjustment), ③ 인토네이션 조절(Intonation Adjustment)그리고 트러스로드의 종류와 소재별 차이점까지 함께 정리한다. 트러스로드(Truss Rod)란? – 기타 넥의 중심축을 지탱하는 금속 막대트러스로드는 기타 넥 내부에 삽입된 금속 막대로, 줄의 장력으로 인해 넥이 휘는 것을 보정하거나 유지하는 구조적 장치다. 트러스로드가 필요한 이유습도 변화, 계절, 현 교체 등에 따라 넥 휨이 자연 발생으로 ..

연주 스타일별 기타 추천 – 핑거스타일, 스트로크, 솔로잉 완전 분석

기타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바로 "내가 어떻게 연주하느냐"이다. 어떤 연주 스타일을 주로 사용하는지에 따라 바디 형태, 넥 너비, 재질, 구조가 달라져야 한다. 이 포스트에서는 핑거스타일(Fingerstyle), 스트러밍(Strumming), 솔로잉(Soloing) 3가지 대표 연주 스타일에 따라 어떤 어쿠스틱 기타가 적합한지 상세히 비교해본다. 핑거스타일(Fingerstyle) – 섬세한 표현과 넓은 다이내믹핑거스타일은 피크 없이 손가락으로 멜로디, 베이스, 리듬을 동시에 연주하는 테크닉이다. 정교한 울림과 넓은 음역대를 필요로 하며, 고른 밸런스와 반응성이 핵심이다. 추천 스펙바디 타입: OM(Orchestra Model), GA(Grand Auditorium) 등 중형 바디목재 조합: 스..

어쿠스틱 vs 일렉트릭 어쿠스틱 – 구조적 차이와 활용

일반적인 어쿠스틱 기타는 전기적인 장치 없이 목재의 울림만으로 사운드를 만들어낸다. 반면, 일렉트릭 어쿠스틱 기타는 이러한 어쿠스틱 사운드를 기반으로 하면서, 픽업(Pickup)과 프리앰프(Preamp)를 장착해 전기적 증폭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구조적 차이 – 전기장치의 유무어쿠스틱 기타는 바디(Body) 내부의 공명을 통해 소리를 자연스럽게 울려내는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어쿠스틱 기타 상판의 사운드홀 (Soundhole)을 중심으로 음파가 퍼져나가며, 울림통 전체가 하나의 ‘스피커’ 역할을 한다. 반면, 일렉트릭 어쿠스틱 기타는 이 자연 울림에 더해 전기적 장치인 픽업( pickup)을 통해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장치가 장착된다. 언더새들 픽업(Under-sad..

프렛(Fret) 소재에 따른 음향적 특성 및 프렛 수에 따른 사운드 변화와 연주 가능 범위

기타의 프렛(Fret)은 단순히 음을 구분하는 경계선 이상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작은 금속 막대는 연주의 정밀도, 음색의 명료도, 연주 가능 범위를 좌우하며, 소재와 수량에 따라 기타의 성향이 크게 달라진다. 이 글에서는 프렛의 재질이 사운드에 끼치는 영향과 프렛 수에 따른 구조적 차이, 그리고 연주 가능 범위에 대한 비교를 정리한다. 프렛(Fret)의 주요 소재와 음향 특성기타 프렛은 일반적으로 니켈실버(Nickel Silver),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이외에 브론즈 계열이나 구리 합금 등으로 제작된다. 각 소재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인다. 1. 니켈 실버(Nickel Silver)구성: 니켈 18%, 구리 80% 내외, 은은 포함되지 않음소리 특성: 따뜻하고 부드러운 사..

어쿠스틱 기타 픽업 시스템 비교 – 마그네틱(Magnetic), 언더새들(Under-saddle), 콘덴서(Condenser)

어쿠스틱 기타를 앰프나 PA 시스템에 연결해 연주할 때,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장치가 바로 픽업(Pickup)이다. 픽업은 기타의 울림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로, 장착 위치나 작동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이 포스트에서는 대표적인 3가지 픽업 타입인 마그네틱(Magnetic), 언더새들(Under-saddle), 콘덴서(Condenser) 방식의 구조와 음향 특성을 비교해 설명한다. 마그네틱 픽업(Magnetic Pickup)마그네틱 픽업은 일렉트릭 기타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어쿠스틱 기타에 장착할 경우 사운드홀 내부에 부착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구조는 일렉기타용 싱글코일 혹은 험버커와 유사하며, 금속성 현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장점노이즈에 강하고 비교적 피드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