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5

어쿠스틱 vs 일렉트릭 어쿠스틱 – 구조적 차이와 활용

일반적인 어쿠스틱 기타는 전기적인 장치 없이 목재의 울림만으로 사운드를 만들어낸다. 반면, 일렉트릭 어쿠스틱 기타는 이러한 어쿠스틱 사운드를 기반으로 하면서, 픽업(Pickup)과 프리앰프(Preamp)를 장착해 전기적 증폭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구조적 차이 – 전기장치의 유무어쿠스틱 기타는 바디(Body) 내부의 공명을 통해 소리를 자연스럽게 울려내는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어쿠스틱 기타 상판의 사운드홀 (Soundhole)을 중심으로 음파가 퍼져나가며, 울림통 전체가 하나의 ‘스피커’ 역할을 한다. 반면, 일렉트릭 어쿠스틱 기타는 이 자연 울림에 더해 전기적 장치인 픽업( pickup)을 통해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장치가 장착된다. 언더새들 픽업(Under-sad..

프렛(Fret) 소재에 따른 음향적 특성 및 프렛 수에 따른 사운드 변화와 연주 가능 범위

기타의 프렛(Fret)은 단순히 음을 구분하는 경계선 이상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작은 금속 막대는 연주의 정밀도, 음색의 명료도, 연주 가능 범위를 좌우하며, 소재와 수량에 따라 기타의 성향이 크게 달라진다. 이 글에서는 프렛의 재질이 사운드에 끼치는 영향과 프렛 수에 따른 구조적 차이, 그리고 연주 가능 범위에 대한 비교를 정리한다. 프렛(Fret)의 주요 소재와 음향 특성기타 프렛은 일반적으로 니켈실버(Nickel Silver),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이외에 브론즈 계열이나 구리 합금 등으로 제작된다. 각 소재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인다. 1. 니켈 실버(Nickel Silver)구성: 니켈 18%, 구리 80% 내외, 은은 포함되지 않음소리 특성: 따뜻하고 부드러운 사..

어쿠스틱 기타 픽업 시스템 비교 – 마그네틱(Magnetic), 언더새들(Under-saddle), 콘덴서(Condenser)

어쿠스틱 기타를 앰프나 PA 시스템에 연결해 연주할 때,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장치가 바로 픽업(Pickup)이다. 픽업은 기타의 울림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로, 장착 위치나 작동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이 포스트에서는 대표적인 3가지 픽업 타입인 마그네틱(Magnetic), 언더새들(Under-saddle), 콘덴서(Condenser) 방식의 구조와 음향 특성을 비교해 설명한다. 마그네틱 픽업(Magnetic Pickup)마그네틱 픽업은 일렉트릭 기타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어쿠스틱 기타에 장착할 경우 사운드홀 내부에 부착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구조는 일렉기타용 싱글코일 혹은 험버커와 유사하며, 금속성 현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장점노이즈에 강하고 비교적 피드백에..

픽가드(Pickguard), 바인딩(Binding), 퍼플링(Purfling) – 외장 장식의 역할과 영향

어쿠스틱 기타는 단순한 악기를 넘어 예술품으로서의 외관을 갖춘 경우가 많다. 그중에서도 픽가드(Pickguard), 바인딩(Binding), 퍼플링(Purfling)은 단지 미적 장식에 그치지 않고, 실제 구조적 안정성과 연주감, 사운드에도 일정한 영향을 주는 외장 요소들이다. 이 포스트에서는 이 세 가지 장식의 기능과 종류, 그리고 기타 사운드에 미치는 영향까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픽가드(Pickguard)의 역할과 종류픽가드는 일반적으로 사운드홀 아래쪽, 스트로크 시 손끝이 자주 닿는 위치에 부착된다. 그 주요 목적은 스트로크나 피킹 시 기타 상판이 손톱이나 피크로 긁히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하지만 단순히 ‘보호’만이 전부는 아니다.1. 기능적 역할상판 보호: 장시간 연주 시 발생할 수 있는..

어쿠스틱 기타의 바디 두께(Depth)와 상하 bout에 따른 사운드 및 착용감 변화

어쿠스틱 기타( Acoustic Guitar)는 바디(Body)의 형태에 따라 소리의 울림과 연주자의 착용감이 달라진다. 그중에서도 바디의 깊이(Depth), 그리고 어퍼 바우트(Upper Bout)와 로어 바우트(Lower Bout)는 기타의 사운드 성향과 사용 편의성에 밀접한 영향을 준다. 바디 깊이(Depth)의 정의와 영향기타의 깊이는 바디 옆면의 두께를 의미한다. 바디가 두꺼울수록 내부 공기량이 많아져 저음역의 울림이 풍성해지고, 반대로 얇을수록 반응성과 착용감이 좋아진다. 얇은 바디(Depth: 약 80~95mm)얇은 바디는 주로 콘서트(Concert)나 트래블러(Traveler) 기타에 사용된다. 고음과 미드톤 중심의 선명한 사운드를 내며, 허리 라인이 얇아 무대에서 착용감이 뛰어나다. 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