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4

브릿지핀 재질 정리 2부 Wood(B)

이번 편에서는 에보니, 코코볼로, 블랙우드 등의 전통적 재료 외에도 개성 강한 고음향 목재 9종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각각의 브릿지핀 재료는 사운드뿐 아니라 연주 감각과 기타의 개성을 좌우한다.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브릿지 소재에 대한 성향을 제시한다. ※ H = 최고음역 / M = 중음역 / B = 저음역 / S = 서스테인 / O = 배음 / T = 총합 특성온두라스 로즈우드 (Honduran Rosewood)기본정보: 중남미 출신 로즈우드 계열 중 가장 밝은 사운드를 내는 편이다. 톤우드로도 자주 쓰이며, 고급 마라카스나 퍼커션 악기에 사용될 정도로 강한 밀도와 탄성을 지닌다.가공성: 중간 정도의 경도를 가지고 있어 공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작업 시 날카로운 도구가 필요하다. 건조 과정에서 갈라..

브릿지핀 재질 정리 1부 – Wood(A)

기타의 브릿지핀(Bridge Pin)은 줄을 고정할 뿐 아니라 줄의 진동을 브릿지를 거쳐 바디로 전달하는 중요한 파츠이다. 특히 목재로 만들어진 브릿지핀은 단단한 재질을 통한 응답성, 음향 전파력, 그리고 따뜻한 음색을 추구하는 기타리스트에게 오랜 시간 사랑받아왔다.이번 포스트에서는 다양한 우드 브릿지핀 소재 중 대표적인 10종을 선별하여, 그 특성, 외관, 가공 난이도, 음향적 성향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브릿지핀의 음향적 특성을 제시한다. ※ H = 최고음역 / M = 중음역 / B = 저음역 / S = 서스테인 / O = 배음 / T = 총합 특성에보니(Ebony) – 가봉 / 마카사가공성: 매우 단단하고 밀도 높은 재질로 가공이 어려운 편이지만, 뛰어난 내구성과 고급스러운 ..

너트(Nut)와 새들(Saddle)의 재질별 사운드 특성

너트(Nut)와 새들(Saddle)은 어쿠스틱 기타의 소리를 정의하는 데 있어 의외로 큰 영향을 미치는 부품이다. 줄의 진동을 목(Neck)과 몸체(Body)로 전달하는 시작점이자 중계지로, 단순히 줄을 걸쳐놓는 역할을 넘어서 사운드의 밀도와 명료도, 서스테인과 배음의 분포까지 좌우하게 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다양한 너트 및 새들 재료들의 음향 특성, 외관, 가공성, 연주 스타일별 추천 포지션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성향을 제시한다. ※ H = 최고음역 / M = 중음역 / B = 저음역 / S = 서스테인 / O = 배음 / T = 총합 특성 천연 재료군: 뼈(Bone), 상아(Ivory), M.O.P 등BONE (소 뼈)H=3.4, M=3.6, B=3.8, S=3.7, O=..

브릿지(Bridge) 재질 정리 – 울림 전달과 진동 특성

기타의 브릿지(Bridge)는 줄의 진동을 몸체(Body) 상판에 전달하는 주요 파츠다. 이 역할은 단순히 구조적인 지지에 그치지 않고, 사운드의 캐릭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브릿지에 사용되는 재질은 기타 전체 울림의 응답성, 배음, 서스테인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어쿠스틱 기타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브릿지 재질을 나무, 동물성, 합성, 금속, 기타 특수 소재로 분류하고, 각각의 구조적 특성 및 사운드 특성을 정리한다.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브릿지 소재에 대한 성향을 제시한다. ※ H = 최고음역 / M = 중음역 / B = 저음역 / S = 서스테인 / O = 배음 / T = 총합 특성우드 브릿지에보니 (Ebony)원산지: 아프리카, 인도네시아색상: 짙은 흑색 또는 흑..

어쿠스틱 기타 프렛보드 재질에 따른 특성과 연주감 차이 비교

어쿠스틱 기타의 프렛보드(Fret board)는 단순한 장식 요소가 아닌, 연주자와 기타가 직접적으로 맞닿는 가장 중요한 인터페이스 중 하나이다. 줄을 누르고 미끄러지는 손가락의 감각, 해머링과 슬라이드의 반응성, 미세한 터치에 대한 반응도 등은 프렛보드 재질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프렛보드는 연주감, 사운드 특성, 내구성, 외관, 가공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신중히 선택해야 하는 요소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대표적인 프렛보드 재질인 에보니(Ebony), 로즈우드(Rosewood), 메이플(Maple)을 중심으로 각각의 물리적·음향적 특성과 연주감, 유지관리 측면까지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각 지판 목재가 사운드에 미치는 영향과 연주감 측면에서의 특징을 함께 정리한다. ※ H = 최고음역 ..

어쿠스틱 기타 넥(Tonewood Neck) 재질 정리 – 사운드에 미치는 영향과 연주감 비교

어쿠스틱 기타 넥(Tonewood Neck) 재질에 따른 사운드 영향어쿠스틱 기타의 넥(Neck)은 손과 가장 많이 맞닿는 부위로, 넥(Neck)은 단순히 줄을 누르는 구조물로 여겨지기 쉬우나, 사실은 사운드 전달, 진동 전도, 연주 피로도, 안정성까지 좌우하는 핵심적인 구성 요소다. 연주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전체적인 공명과 서스테인, 미드레인지 성향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넥 재질은 전체적인 사운드의 균형에 영향을 주며, 동시에 넥의 무게와 강성은 기타의 리스폰스와 미세한 공명까지 좌우한다. 기타의 넥 재질로는 주로 마호가니(Mahogany), 메이플(Maple), 로즈우드(Rosewood), 월넛(Walnut), 스패니시 시더(Spanish Cedar), 나토(Nato)등이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