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4

어쿠스틱 기타의 바디와 넥의 접합 방식 – 볼트온, 셋넥, 스루넥 구조 비교

어쿠스틱 기타의 바디(Body)와 넥(Neck)은 단순히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두 파트를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 사운드의 전달, 진동 효율, 수리 용이성, 연주 안정성 등이 크게 달라진다. 이 글에서는 어쿠스틱 기타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2가지 넥 접합 방식인 볼트온(Bolt-on), 셋넥(Set-neck)과 일렉트릭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에서 사용되는 접합 방식인 스루넥(Through-neck) 구조도 함께 비교 분석한다.넥 접합 방식이 중요한 이유넥과 바디의 접합은 기타의 구조적 안정성을 좌우하는 핵심 포인트이다. 특히 어쿠스틱 기타는 공명 구조의 악기이기 때문에 접합 방식은 단순한 조립 기술을 넘어서 소리의 전달력, 울림의 방향성, 공진의 균형감까지 영향을 준다. 또한 수리 시 접근성이..

지판(Fretboard), 바디(Body) 조합에 따른 울림과 연주감 변화

어쿠스틱 기타는 단일 목재의 성능보다, 다양한 파츠의 조합을 통해 훨씬 복합적인 사운드를 만든다. 어쿠스틱 기타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는 상호작용을 통해 최종적인 사운드 캐릭터와 연주감을 결정한다. 그중에서도 지판(Fretboard)과 바디(Body)의 조합은 음향적 성향뿐 아니라 연주자의 손끝으로 가장 먼저 체감하는 연주 감각까지 좌우하며, 음향 밸런스에 큰 영향을 준다. 이번 글에서는 다양한 지판-바디 조합에 따라 어떤 음색의 특성과 차이를 가지며, 각각의 조합이 연주자에게 어떤 인상과 체감을 주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해본다. 지판과 바디의 상호작용 왜 중요한가? 기타의 음색을 결정짓는 가장 큰 요소는 상판이지만, 지판과 바디의 매칭 또한 전체 사운드의 균형, 반응성, 여운(Sustain)에 영향을 준다..

지판과 넥 조합에 따른 연주감 및 사운드 시너지

어쿠스틱 기타에서 지판(Fret board)과 넥(Neck)은 단순히 손이 닿는 부분을 넘어 연주감, 사운드의 민감도, 반응성과 밀접하게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 둘은 따로따로 평가할 수 없으며, 실제 연주자 입장에서는 두 재료의 조합이 만들어내는 궁합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이 포스트에서는 주요 조합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해 전문적으로 살펴본다.지판과 넥의 기본 역할지판은 손가락이 직접 닿는 부위로서, 마찰감과 반응성에 큰 영향을 준다. 반면 넥은 기타의 구조적 안정성과 진동 전달, 손의 그립감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다. 넥의 재질은 음향 전달에 기여하며, 지판은 그 미세한 진동과 터치 감각을 받아들인다.지판이 주는 감각: 연주자의 손끝에 전달되는 촉감, 반응성, 프렛 소음넥이 주는 감각: 두께, 그립..

브릿지핀 재질 정리 5부 – 기타/혼합 소재 및 총정리

기타 브릿지핀에는 전통적인 우드나 뼈 외에도 다양한 ‘혼합소재’가 사용된다. 이들은 대부분 환경 보호나 대량 생산에 적합한 대체재로서 개발되었지만, 일부는 고급 브랜드에서도 채택될 정도로 품질이 뛰어난 것도 있다.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브릿지 소재에 대한 성향을 제시한다. ※ H = 최고음역 / M = 중음역 / B = 저음역 / S = 서스테인 / O = 배음 / T = 총합 특성리치라이트(Richlite)외관: 매트한 블랙 또는 짙은 브라운 계열. 고급스러운 인공 소재 느낌 가공성: 매우 우수함. 공작기계나 수작업 모두 대응 내구성: 습기, 온도 변화에 강하며 마모에 매우 강하다 음향특성: H=2.8, M=3.0, B=3.2, S=3.0, O=2.9, T=3.0 해설: 리치라이트는 종이와 수지를 고..

브릿지핀 재질 정리 4부 – 금속 및 합성 소재

기타(기타) 브릿지핀(Bridge Pin)은 일반적으로 목재나 뼈 소재가 주를 이루지만, 현대 기타 시장에서는 금속이나 고밀도 합성소재로 제작된 핀도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 이는 보다 특화된 음향 특성과 내구성, 그리고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원하는 연주자들의 니즈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금속 브릿지핀과 주요 합성 재료들을 정리하고, 각각의 사운드 특성과 특징을 비교하고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브릿지 소재에 대한 성향을 제시한다. ※ H = 최고음역 / M = 중음역 / B = 저음역 / S = 서스테인 / O = 배음 / T = 총합 특성 금속 소재 브릿지핀티타늄(Titanium)음향특성: H=3.6, M=3.4, B=3.9, S=4.1, O=3.8, T=3.8외관: 회색빛 금속 광택..

브릿지핀 재질 정리 3부 – 동물성 재료

기타의 진동 에너지를 고스란히 전달하고자 할 때, 브릿지핀(Bridge Pin)의 소재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번 편에서는 동물성 재료를 기반으로 한 고급 브릿지핀 소재들을 다룬다. 뼈(Bone) 계열, 상아(Ivory), 자개(Mother of Pearl)까지 각 재료의 사운드 특성과 물리적 특성을 자세히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브릿지 소재에 대한 성향을 제시한다. ※ H = 최고음역 / M = 중음역 / B = 저음역 / S = 서스테인 / O = 배음 / T = 총합 특성BONE (동물 뼈)음향특성: H=3.2, M=3.4, B=4.1, S=3.5, O=3.7, T=3.6 외관: 유백색~아이보리톤, 가공 후 균일한 광택 가공 난이도: 보통 (정밀한 절단 및 연마 필요) 해설: 소 재료 중..